알코올 클리닉
술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잘못된 음주 습관은 개인은 물론 가족 및 사회의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알코올 클리닉에서는 알코올 중독에 대한 예방은 물론 조기진단 및 치료 그리고 재활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알코올 중독이란?
알코올 중독이란 지속적인 과도한 음주로 인한 심리, 대인 관계 및 신체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질환입니다. 즉, 오랜 기간에 걸친 계속적인 과도한 음주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부작용을 유발하는 만성적 질환입니다. 또한 알코올 중독은 치료적 개입이 없이 방치되는 경우, 알코올로 인한 신체적 합병증 및 알코올성 치매 등의 정신질환을 유발하여 결국은 죽음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병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술 문제로 인해서 가족기능의 손상과 가족 구성원 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병입니다.
알코올 중독의 원인은?
유전적요인
가족이나 친척 중에 의존증환자가 있을 경우, 가족력이 없는 사람들보다 알코올에 의존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또한 대뇌의 도파민계, 세로토닌계, 내인성 오피오이드계, 그리고 GABA계 등의 특정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 및 활동에서도 의존증환자와 비의존증환자간에는 차이를 보입니다.
심리학적 요인
아동기때 주의력결핍장애, 품행장애를 보였던 경우, 자신에 대한 심한 무가치감을 느낀 경우, 의존성이 강한 경우, 불쾌한 상황에서 술을 마신 후 행복감과 다행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을 경우, 그리고 성격적인 문제(수줍음이 많은 성격, 주장을 못하는 성격, 너무 양심적인 성격 등)가 있는 경우 등이 알코올의존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사회문화적 요인
우리나라와 같이 술을 권하는 사회분위기, 술친구가 많다거나, 술을 구하기 쉬운 생활여건, 이혼, 별거, 미혼 등의 상태, 실직, 가난,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 중독의 증상은?
① 갈망 : 술마시고 싶은 충동을 느낌.
② 자제력 상실 : 한번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멈추지 못함.
③ 신체적 의존증상(금단증상) : 술을 안마시면 구토, 식은땀, 손 떨림, 안절부절 등을 경험하고 심하면 헛것이 보이거나 헛소리를 듣기도 함.
④ 내성 : 술에 취하려면 점점 더 많은 술을 마셔야 함.
⑤ 알코올 의존의 증상
※ 술을 끊는 생활에 익숙해지려면 적어도 9개월에서 15개월 정도의 단주 유지 기간 필요합니다.
※ 2년 ~ 3년 정도는 재발방지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합니다.
알코올 중독의 증상은?
영양 |
단백질, 마그네슘, 아연, 칼슘,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등 부족 |
대사질환 |
저혈당,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신경 및 근육 기능 저하 |
간 |
지방간, 간염, 간경화, 간암 |
순환기 |
고혈압, 부정맥, 뇌졸중, 심근병증 |
혈액 |
빈혈, 혈소판 저하증 |
위장장애 |
식도염, 위염, 췌장염, 설사 |
내분비계통 |
무월경, 성기능저하, 골다공증 |
암 발생증가 |
구강암, 인후두암, 식도암, 위암, 간암, 췌장암, 대장암 |
정신사회적 장애 |
알코올의존증, 불면증, 기억력 손상, 판단력장애, 교통사고, 피로감, 불안, 우울, 자녀와 배우자 학대, 대인관계 장애, 재정적 문제 |
임신시 영향 |
중추신경계 이상, 성장장애, 안면부기형 등의 기형아 출산 위험 |
알코올 중독의 영향은?
알코올 의존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의존이 정신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의존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 유의 사항
가족의 알코올 문제를 더 이상 부정하지 맙시다.
의존증환자 자신과 배우자, 자녀를 포함한 모든 가족들이 알코올의존증에 대한 편견이나 생각들을 버릴 수 있도록 치료진을 통해 교육을 받아야합니다.
환자가 술 마시는 요인이 가족의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맙시다. 그것은 옳은 생각이 아니며, 필요 없는 죄책감을 유발하게 됩니다.
가족 자신의 정신 건강에도 신경을 씁시다.
냉정한 사랑을 실천합시다.
자녀들에게도 관심을 가집시다.
알코올 의존증은 지속적인 노력과 적문적인 도움으로 치료될 수 있는 병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희망을 가집시다.
가족들의 역할
치료초기 환자분의 신체적ㆍ정신적 상태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치료진에게 알려주십시오.
음주와 관련된 생활상의 정보를 치료진에게 상세하게 알려주십시오.
병원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가족 또한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가족교육이나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시고 책자를 통해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강력하게 권유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치료기간 중 환자의 부적합한 요구사항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일 수 있고, 가족들의 이러한 관심 있는 태도는 환자에게 매우 강력한 치료적인 동기를 부여합니다.
환자와 함께 입원치료의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치료진과 상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