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클리닉
깊은 밤 잠 못 이루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잠을 못 이루는 날이 3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다면
당신은 만성불면증일수도 있습니다.
체질적으로 잠이 깊지 않은 사람이 스트레스를 겪은 후 불면증이 시작됩니다.
약을 복용해도 깊이 잠을 자지 못 하거나, 약을 끊으면 잠을 전혀 못 자는 일이 반복됩니다.
불면증클리닉에서는 불면증뿐만 아니라 각종 수면장애의 정확한 원인을 찾아서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수면장애란?
수면은 낮 동안 소모되고 손상된 부분을 회복시켜주는 기능과 인지적 기능, 생존기능, 감정조절기능 등의 기능을 가집니다.
수면장애란 수면의 이상으로 이러한 수면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낮과 밤에 여러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합니다.
수면장애의 원인은?
수면장애는 크게 4가지 범주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첫째, 정신과적 질환과 동반된 경우로 이 경우는 정신장애와 관계된 수면장애로 분류됩니다.
둘째, 신체장애가 그 원인인 경우로 이는 신체장애와 관계된 수면장애로 분류되며,
셋째, 스트레스, 입원과 일상의 중대한 변화 등과 같은 환경적 변화로 생기는 수면장애로 이는 비교적 단기간으로 끝나므로 임상적인 수면장애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넷째,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수면장애로 낮 동안 뚜렷한 정신과적 장애나 신체질환 없이 수면장애가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원인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흔히 억압이 많고 완벽주의성향이 강한 강박적 성격의 사람들이 수면이 자기 뜻대로 조절되지 않을 때
쉽게 긴장하고 불안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사람들은 낮에는 잘 지내다가 수면시간이 가까울수록 긴장과 각성이 높아지면서 수면장애로 이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조절의 실패와 불면, 긴장, 불안과 함께 조건화된 여러 자극과 연상물들이 자동적으로 각성상태를 유발시켜 학습화된 수면장애로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의 증상은?
수면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은 불면증, 낮에 느끼는 과도한 졸림, 자다가 일어나는 이상행동 등이 있고
그밖에 집중력 저하, 우울증, 불안, 일상생활에서의 기능 저하, 심혈관계 장애, 성기능 장애, 면역기능 저하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모든 수면장애가 여러가지 증상의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나지만 드러나는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
종류 | 증상 |
불면증을 주로 보이는 수면장애 |
주관적으로 수면이 부족하다는 느낌과 잠드는데 30분 이상씩 걸리며, 잠든 후에도 깨어 있는 시간이 30분 이상이며, 일주일에 3회 이상이고, 불면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됨. 수면이 부족해서 피로감, 작업장애, 기분장애가 나타날 수 있음. |
낮에 과도한 졸림을 일으키는 수면장애 |
밤에 잘 잔 것 같은데도 낮에 참기 어려운 졸음과 함께 순간적으로 잠에 빠져들며, 이로 인해 불성실한 사람으로 오해받을 수도 있으며, 심하면 작업이나 운전 중에 사고가 생길 수도 있음. |
자다가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수면장애 |
대개 깊은 수면상태에서 일어나며, 악몽증, 몽유증, 야경증, 이갈이, 머리찧기, 잠꼬대 등이 있음. |
수면장애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치료
비약물치료
Tip. 좋은 수면 습관!!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기
침대나 요에는 잠잘 때만 눕기
수면 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기
취침 전 독서와 같은 편안한 습관 갖기
낮에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규칙적인 생활하기
취침 6시간 전부터 카페인 음료, 술, 담배 금지
매일 같은 시간에 자기
꼭 필요한 경우에만 보조적 수면제 복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