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 중독이란?
담배 안에 들어있는 니코틴이라는 성분에 의해 신체적, 정신적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흡연을 한 후 시간이 지나면서 혈중 니코틴 농도가 떨어지면서 강한 흡연욕구를 느끼게 되며 니코틴에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만성적인 대량 흡연으로 기관지염뿐만 아니라
심장 및 혈관증세(심계항진, 부정맥, 혈압상승, 협심증 등), 위장 증세(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신경 증상(불면, 편두통, 시신경 장애 등)을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금연을 할 때 나타나는 금단증상으로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연시 나타나는 금단증상
니코틴이 뇌로 공급되면 도파민 분비(쾌락과 행복감에 관련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으로 이용되는 물질) 가 활발해져 편안함이나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반대로 금연으로 도파민 분비가 줄어들면 금단증세가 나타나는데, 마지막 담배를 피운 후 2시간 이내에 발생해 하루나 이틀 사이에 금단 증상이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아래의 증상은 흔히 호소하는 금단증상입니다.
불안 |
금연 후 자율신경 및 내분비계통의 부조화로 인해 생기는 증상으로, 초조, 욕구불만, 노여움 등의 증상이 같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신경과민 |
니코틴은 안정감을 주고 긴장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일단 중독이 되면 니코틴 공급이 끊어졌을 때 경계에 일대 혼란을 야기합니다. 결과적으로 신경질적이 되고 예민해집니다. |
소화장애 |
장 운동이 느려져 소화가 잘 안되고 변비가 생기고 가스가 찰 수 있습니다. 이때 고지방, 단 음식, 고 카페인 함량의 음식은 피하고 매운 음식도 조심하며,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권합니다. |
기침 |
일시적으로 기침이 더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은 기도를 막고 호흡을 힘들게 했던 가래와 타르를 제거하기 위한 신체의 정상적인 방어 과정입니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가래를 뱉어 내는데 도움이 됩니다. |
두통 |
혈액순환 속도가 조금 느려지면서 뇌로 가는 혈액과 산소를 충분히 얻지 못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갈증, 목, 잇몸, 혀의 통증 |
담배의 여러 화학물질에 구강의 조직들이 길들여졌다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증상으로 얼음 물, 주수를 조금씩 먹거나 양치질을 합니다. |
금연 프로그램 (15년 2월 25일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원)
12주 동안 6회 이내 의사의 전문적인 치료·상담 금연치료의약품 (부프로피온, 비레니클론) 구입비용과 금연보조제 (니코틴패치, 껌, 사탕) 구입비용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해드립니다.
지원 대상 |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 (1년에 2번까지 금연치료 지원) ※ 예정된 차기 진료일로부터 1주 이내 의료기관을 내원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참여 중단으로 간주하여 1회 지원 종료. |
지원금액 및 본인부담 |
금연치료 상담료는 70%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 금연치료의약품ㆍ금연보조제는 전액 지원 ※ 의료급여자 및 최저생계비 150% 이하자는 상담료 전액지원. 금연치료의약품ㆍ금연보조제 이내 지원 |
지원절차 |
의료기관 방문 > 금연치료 등록 > 의료기관 진료ㆍ상담 > 금연치료 의약품 처방전 또는 금연보조제 |
금연 방법 |
|